4060 재무정보

국민연금 조기수령 vs 연기수령, 언제 받는 게 더 유리할까? 수령액 비교 가이드

사육십 2025. 4. 20. 17:00

 

 

 

 

목차

 

  1. 국민연금, 받는 시점이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?
  2. 조기수령과 연기수령, 기본 개념부터 정리
  3. 조기수령, 이런 분들께 유리합니다
  4. 연기수령, 이런 상황에 더 적합합니다
  5. 실제 수령액 비교 시뮬레이션
  6. 마무리하며: 내 상황에 맞는 선택이 정답입니다

 


 

1. 국민연금, 받는 시점이 왜 이렇게 중요할까요?

 

국민연금은 단순히 “나이 되면 받는 돈”이 아닙니다.
언제 수령하느냐에 따라 월 수령액이 크게 달라지기 때문입니다.

 

받을 시기를 앞당기면 금액이 줄고
미루면 금액이 올라갑니다.

 

많은 50~60대 분들이
“빨리 받는 게 좋을까?”, “늦게 받으면 얼마나 더 받지?” 같은 고민을 하시는데요,


이번 글에서는 조기수령과 연기수령의 차이점과 유불리
실제 예시와 함께 알기 쉽게 정리해드립니다.

 


 

2. 조기수령과 연기수령, 기본 개념부터 정리

 

구분 조기수령 연기수령

 

가능 나이 만 60~64세 만 65세 이후
조건 소득활동이 미미하거나 중단된 경우 원하면 최대 5년까지 연기 가능
수령액 변화 1년 당 6%씩 삭감 (최대 30%) 1년 당 7.2%씩 증액 (최대 36%)
예시 월 100만 원 → 조기수령 시 약 70만 원 월 100만 원 → 연기 시 최대 약 136만 원

 

국민연금의 기준 수령 나이는 1969년생 기준으로 만 65세입니다.


조기수령은 이보다 1~5년 빨리 받을 수 있고,
연기수령은 최대 70세까지 미루는 것이죠.

 


 

3. 조기수령, 이런 분들께 유리합니다

 

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조기수령이 현실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.

 

건강 상태가 좋지 않아 수명이 걱정되는 경우
당장 소득이 거의 없어 연금이 생계에 중요한 경우
다른 연금, 자산이 거의 없어 당장 필요한 현금 흐름이 부족한 경우

 

* 예시


64세 은퇴자 A씨는 월 소득이 없어 국민연금을 조기수령(62세)하기로 결정.
매월 80만 원 수령으로 생계에 도움을 받고 있음.
다만 평생 받을 총액은 줄어듦.

주의할 점은 중도에 후회해도 되돌릴 수 없다는 것입니다.
한 번 조기수령을 시작하면 원래 수령액으로 복구되지 않기 때문입니다.

 

 


 

4. 연기수령, 이런 상황에 더 적합합니다

 

다음과 같은 경우 연기수령을 고려해볼 수 있습니다.

 

  • 아직 다른 소득(근로소득, 사업소득 등)이 있어 연금이 당장 필요하지 않을 경우
  • 건강이 양호하고 수명이 길 것으로 예상될 경우
  • 연금을 노후 자산 증식 수단으로 활용하고 싶은 경우

 

* 예시


67세 B씨는 자영업으로 월 150만 원의 소득이 있어 연금을 2년 연기 중.
기본 수령액이 월 100만 원이었다면
2년 연기로 14.4% 증가 → 약 114.4만 원 수령 가능.

 

장수할수록 연기수령의 총 수령액이 많아지는 구조입니다.
국민연금은 사망 시까지 받기 때문에,
내가 오래 살 자신이 있다면 연기수령이 유리할 수 있죠.

 


 

5. 실제 수령액 비교 시뮬레이션

 

예시: 국민연금 예상 수령액이 월 100만 원인 경우
(기준 수령 나이: 만 65세)

 

수령 시기 월 수령액 총 수령액 (80세 수령 기준)

 

만 60세 (조기수령) 약 70만 원 약 1억 6800만 원
만 65세 (기준) 100만 원 약 1억 8000만 원
만 70세 (연기수령) 약 136만 원 약 1억 6320만 원

 

총 수령액은 수명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
자신의 건강 상태와 은퇴 이후 소득 상황을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.

 


 

내 상황에 맞는 선택이 정답입니다

 

국민연금은 ‘빨리 받는 게 무조건 유리’도,
‘늦게 받으면 무조건 좋다’도 아닙니다.

 

  • 건강
  • 소득
  • 예상 수명
  • 다른 연금이나 자산 유무


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서
본인 상황에 맞게 수령 시기를 선택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.

 

국민연금공단 홈페이지나 지사에 문의하면
나의 예상 수령액과 연기/조기수령 시뮬레이션도 직접 받아볼 수 있으니,
꼭 확인해보시길 추천드립니다.